제11회 DB금융경제 공모전
■ 응모대상
1. 국내외 대학 및 대학원에 재학 또는 휴학중인 학생(2020년 가을학기 기준)
* 대학원의 경우 석사과정, 석박사 통합과정 4학기까지 참가 가능
2. 단체(2인 이하)응모 가능
■ 공모주제 : 금융 및 관련 분야의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연구방안으로
1. 은행 · 보험 분야
2. 증권 · 자산 · 금융경제 분야 중 선택
※ 세부주제는 응모자 자율 선정
■ 공모일정
- 신청서 접수: 2020.12.1(화) ~ 2021.1.11(월)
- 응모작 접수: 2021.2.1(월) ~ 3.1(월)
- 응모작 심사: 2021.3.2(화) ~ 4월말
- 1차심사 발표: 2021. 4월 말
- 팀PT대회 및 시상식: 2020. 5.7(금) (예정)
- 글로벌 금융탐방:미국 2021. 8월 말, 아시아 6월 말
(탐방 취소시 대체보상 지급, 아래 수상특전 내용 참조)
■ 접수방법
1. 신청서온라인 접수(공모전 홈페이지 http://ideafin.dbfoundation.or.kr )
* 출품작 제출 전까지 주제 및 팀원 변경 가능(홈페이지 수정 필수)
2. 응모작온라인 제출
* 공모전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제출(우편, 이메일 제출 불가)
* 수정,변경사항 있을 시 제출기한 내 재제출 가능
■ 작성요령
- 논문
* 분량: 제한 없음
* 작성 SW: MS-Word
* 작성폰트: 바탕체, 12pt, 줄간격 1.5줄
* 각주, 참고문헌 등 기본적인 논문형식 필수
* 파일용량: 10MB이하
※ 요약본과 전문을 한 개의 파일로 제출
- 기획안
* 분량: 제한 없음
* 작성 SW: MS-Power Point
* 실현가능성에 주안점을 둔 참신한 제안
* 형식: 보고용 PPT 형식으로 작성 (장표상 주요논지 및 논거, 이미지 등 포함)
* 파일용량: 10 MB 이하
※ 출품작 인정 기준 (출품보상 지급 기준)
1. 주제의 적합성 : 금융 및 관련 분야에 해당하는 주제
2. 기본형식 구비 : 서론-본론-결론 구조 및 연구에 대한 주요 논지, 근거 수록
3. 내용 표절 여부 : 타 논문집, 간행물, 공모전 출품작 표절, 자기표절 등 금지
※ 논문, 기획안 첫 장에 주제만 기재 (*학교, 성명 등 인적사항 작성 금지, 위반시 감점)
■ 시상내역
- 최우수상(1팀) : 500만원
- 우수상(은행/보험 1팀, 증권/자산/금융경제 1팀) : 각300만원
- 장려상(은행/보험 2~3팀, 증권/자산/금융경제 2~3팀) : 각300만원
- 가작(00팀) : 각100만원
※ 신청팀에게 인당 스타벅스 커피쿠폰 1매 증정
※ 출품작 제출팀에게 팀당 VIPS 외식상품권 10만원 1매 증정
■ 수상특전
1. 글로벌 금융탐방
- 미국 : 최우수상 1팀, 우수상 2팀, 장려상 中 1팀
- 아시아 : 장려상 中 미국탐방 외 전팀, 가작 中 4팀
※ 코로나19 확산으로 탐방 취소시 아래 대체보상 지급
* 미국 탐방팀: 하버드 계절학기 참가(7주 온라인) 또는 장학금 200만원(인당) 선택
* 아시아 탐방팀: 장학금 100만원(인당) 지급
2. 장려상 이상 입상자 전원 DB그룹 입사지원 시 우대
※ 하버드 계절학기 프로그램 상세내용
* 일정: 2021년 6월~7월, 7주간
* 대상: 미국 금융탐방 취소시 참가예정자
* 비용: 8학점(2과목) 이수시 등록비 약 800만원/인당 (전액지원)
* 자격요건: 공인어학성적 자격 필요(TOEFL 100, IELTS 7.0 이상)
■ 유의사항
1. 제출된 응모작은 반환하지 않습니다.
2. 수상작의 지적 재산권은 DB김준기문화재단에 귀속되어 활용될 수 있으며, 수상작과 관련하여 지적 재산권 분쟁 등 법적 분쟁 발생시 응모자 본인에게 책임이 있습니다.
■ 문의
- 전화 : 02-3011-5544
- 이메일 : ideafin@dbgroup.co.kr
공모전 대외활동 사이트 : 위비티 https://www.wevity.com
코로나가 계속되면서
코로나 사회적 거리두기 5단계로 개편되었고,
3차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는 걸로 결정되었으며 소상공인 및 취약계층이 대상입니다.
참고로 연말정산 시기가 다가오는데요,
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더불어 공인인증서가 폐지되면서
금융인증서가 시행되었고, 인증이 간편해졌습니다.
복지제도로
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과
국민취업지원제도가 시행되니 해당되면 신청해서 혜택받으시는게 좋습니다.